[포커스] 먹이 찾아 삼만리…굷주린 북극곰…해양생태계 붕괴

섬문화연구소-해양생태계연구 언론인회, 극지연구소 초청 세미나
박상건 기자 2021-12-20 08:44:06

전 지구 표면 온도 산업화 이전인 1850년부터 1900년 대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9도 상승했다. 2011년부터 2020년 연평균 북극 해빙 면적은 1850년 이후 최저, 늦여름 면적은 지난 1000년 중 최소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기후위기와 해양생태계 파괴가 급속히 진행 중이다. 이런 심각한 상황에서 기후 문제와 해양생태계 문제는 동전의 양면처럼 동시에 접근해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북극곰(사진=극지연구소 제공)

섬문화연구소와 해양생태계연구 언론인회(회장 박상건)는 지난 17일 한국프레스센터 14층에서 ‘기후변화, 극지해양생태계의 위기와 우리의 과학적 대응강화’라는 주제로 극지 연구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 발표에서 나형술 박사(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책임연구원)는 “기후 변화는 현재 ‘위기’라는 표현을 넘어 ‘대재앙’ 수준”이라면서 “과학자들은 문제의 지점인 1.5도 기온상승 도달 시점을 2052년이 아닌 2040년으로 전망한다”라고 말했다. 

유엔 기후변화 정부 간 협의체(IPCC) 195개국이 합의한 시점은 2100년까지 1.5도 이하로 억제한다는 것이다. 남극해는 전 지구 온실가스 조절의 핵심 지역인데 지구 온난화로 바다 온도 상승이 남극해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을 저하를 초래하고 미세플랑크톤 증가는 해양의 물질순환에서 해면으로부터 심층까지 탄소를 수송하는 생물 활동인 생물펌프(biological pump) 능력 조하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상황의 상징적 사례가 굶주린 북극곰이 고래사냥에 나서기에 이르렀다. 

주제 발표자 나형술 박사(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나 박사는 주제 발표에서 현재 북극 빙벽 붕괴가 가속화되고 해수면은 계속 상승 중이라고 지적했다. 북극 빙벽의 찬물이 적도의 따뜻한 수온과 교류하며 전 지구 해양의 대순환이 원활하게 유지돼 해양생태계의 균형과 공전이 이뤄지는 것인데, 전 지국 대순환 체계가 동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것이다. 남극해 생물의 기본 먹이사슬인 크릴 생물량도 감소해 해양생태계 파괴가 빨라지고 있다.

이런 문제 해결을 방안을 찾고자 각국의 극지 연구 활동도 종횡무진으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극지 연구의 선진국이다. 우리나라는 24개국과 EU가 가입한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협약, 남극물개보존협약, 환경보호의정서, 북극 협정국 등에 가입돼 있다. 관련 국가들은 해양생물 보존 및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현안 논의와 과학적 연구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북극에는 240 어종이 서식하고 새로운 어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북극에는 우리나라의 다산과학기지가 있다. 주변에 영국, 독일, 프랑스 등 10개국이 기지를 운영 중이다. 남극에는 세종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가 있다. 

남극 빙벽 앞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사진=극지연구소 제공)

쇄빙선 연구선 아라온호는 1m 두께의 다년빙을 시속 3노트로 연속쇄빙 성능을 자랑한다. 아라온호는 남극에서 139일, 북극에서 86일 총 225일 항해하며 극지 연구 활동을 한다. 연구선에서 해수, 동물플랑크톤 채집기를 수면 아래로 내려 채집하면 연구진들이 이를 토대로 해양생태계를 파악하고 연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극지 연구를 위한 선진 인프라를 구축한 극지연구소는 남극과 북극 해양생태계 구조와 기능연구, 북극해 온난화-해양생태계 변화 감시 및 미래전망 연구를 주요과제로 추진 중이다. 

또한, 남극 해빙의 미세조류로부터 얼음 결정의 성장을 억제하는 극지 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물질인 결빙방지물질을 발견해 인간 혈액을 장기보존할 수 있는 실용화 연구와 세포 내의 지질을 다량으로 함유한 미세조류 등을 통해 바이오에너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북극곰의 고래사냥 장면(사진=극지연구소 제공)

나 박사는 북극의 북극곰, 여우, 순록, 고래, 식물 180여 종이 서식하고 남극에 펭귄, 크릴, 물개, 고래, 꽃 피는 식물 2종이 서식하는데 바다인 북극과 대륙인 남극이 균형된 해양계를 유지하는 것이 극지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고 기후변화에 능동적인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나형술 박사는 현장감 넘치는 주제 발표를 했고 극지연구소 해양연구본부 양은진 책임연구원, 생명과학본부의 김정훈 책임연구원은 생생하고 귀중한 자료를 제공했다. 토론자로는 박상건(섬문화연구소 소장), 김주언(뉴스통신진흥회 이사장), 정일용(지역신문발전위원회 위원), 천원주(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진흥실 국장) 등이 참여했다. 

신문・방송・통신・잡지사 소속 언론인들의 해양포럼인 ‘해양생태계연구 언론인회’는 해양의 역사와 해양문화의 가치를 발굴해 발표하는 학술세미나를 매월 진행하고 있다. 이 세미나는 삼성언론재단이 후원하고 있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