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돌비늘백합으로 바다도 살리고 어민도 살리고

170ha 방치된 서해안 축제양식장 활용, 새 소득원으로
박상건 기자 2021-04-27 09:33:50

서해안에는 새우양식, 어류종자생산을 하다가 중단한 양식장이 방치돼 있다. 특히 현재 활용되지 않는 축제식 양식장이 약 170ha가 방치돼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주민들 소득원이 줄어드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축제식 양식장은 바닷가에 제방을 쌓고 그 안에 양식생물을 키우는 방식을 말한다. 이 양식장에 돌비늘백합 양식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돼 어민들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돌비늘백합 채취하는 모습(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돌비늘백합은 미국 동부 연안이 원산지이고 지난 2020년 11월에 미동북부백합을 ‘돌비늘백합’으로 개칭했다. 껍질이 단단하여 영어권에서는 hard clam, 중국에서는 경각합 돌백합 등으로도 불린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서해안 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새로운 소득원으로 백합류 일종인 돌비늘백합 양식기술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는 폭염, 한파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양식이 가능한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중국에서 돌비늘백합 종자(약 1.6g/개)를 이식해 와서 3년 동안 서해안 축제식 양식장에서 현장 적용연구를 통해 최근 약 50g/개 크기까지 키우는데 성공했다. 

돌비늘백합 선별하는 모습

전라북도 고창과 부안의 축제식 양식장에서 바지락, 말백합, 가무락 등을 시험 양식한 결과, 돌비늘백합은 30℃ 이상의 수온이 한 달 이상 지속되는 환경에서도 87.3%(78.9∼98.0%)의 높은 생존율을 보여 다른 패류에 비해 고수온에 적응성이 강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겨울철에도 거의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다.

양식장 평균 생존율은 돌비늘백합 87.3%, 바지락 66.2%, 가무락 63.8%, 말백합 41.2% 순이다. 올해 3월 중순에 부안의 축제식 시험양식장에서 2년 6개월 정도 키운 돌비늘백합(평균 각장크기 5cm, 무게 30~50g) 약 3톤을 국내 처음으로 수확하여 군산시 수협을 통해 출하했다.

돌비늘백합(사진=갯벌연구센터 제공)

갯벌연구센터는 민간업체와 공동으로 양성한 모패(어미조개)에서 종자 약 50만 마리를 생산함으로써 종자생산 기술도 갖췄다.

돌비늘백합은 2020년에 수입량이 9891톤으로 국내 소비 규모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서해안을 중심으로 현장에서는 양식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돌비늘백합 수입량은 지난 2016년 2780톤, 2018년 6149톤, 지난해는 9891톤으로 증가세다. 

군산 군산시수협 비응항위판장(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강정하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장은 “서해안 축제식 양식장에서는 지금까지 일부 품종만 단조롭게 양식해 왔으나 돌비늘백합을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보급하여 어업인들의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기술보급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