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로 읽는 섬이야기] 비응도, 해당화 지다(5편)

할머니 얼굴에 핀 검버섯이 뿌리 채 뽑혀 말라가던 비응도의 해당화 같았다.
박월선 기자 2020-10-11 09:02:30

할머니가 구급차에 실려 가자 방안에 덩그러니 보따리만 남았다.

 

나는 떨리는 손으로 보따리를 풀었다. 보따리 속에는 커다란 수건이 돌돌돌 말아져 있었다. 수건을 풀자 또르르 또 하나의 수건이 구르며 방바닥에 펴졌다. 그러더니 그 위에 아기저고리가 있었다.

 

“어! 이게 뭐야?”

 

그때 아빠가 내 방문을 열었다.

 

“배냇저고리구나. 아기 옷이지.”

 

해당화(사진=섬문화연구소DB)

 

아빠는 배냇저고리를 들었다. 그런데 배냇저고리 속에 있는 것이 방바닥에 툭 떨어졌다.

 

“어? 손갈퀴네!”

 

내가 작은 손갈퀴를 들자 아빠의 얼굴이 일그러졌다.

 

“에그, 이게 보물이라고?”

 

몹시 실망스런 표정으로 나는 갈퀴를 들었다. 아빠를 보자, 무척 괴로워 보였다. 부엌으로 간 아빠는 물을 벌컥벌컥 들이켰다. 그러고는 소주를 마시기 시작했다.

 

“으흐흐흐."

 

아빠는 자꾸자꾸 헛웃음을 쳤다.

 

웃음소리는 눈물을 머금고 거실 가득 떠다녔다. 그러더니 먼지처럼 구석으로 슬그머니 내려앉았다.

 

“아빠, 왜 그래. 괜찮아?”

 

“동이야. 이것이 무엇인지 아니?”

 

“갈퀴! 나도 알아. 할머니가 조개 캐는 거잖아.”

 

“그래, 조개 캐는 거지. 이 지겨운 갈퀴를 왜?”

 

아빠는“왜?”라는 말을 중얼거리며 베란다로 나가더니 비응도 쪽을 바라봤다.

 

우리 할머니는 새만금 방조제 사업이 한창인 비응도에 산다. 넓은 바다 한가운데에 작은 섬이다. 섬 뒤로는 군산에 있는 은파 유원지가 보이고, 섬 앞은 망망대해 바다가 있다.

 

여름마다 우리 가족은 비응도에서 휴가를 보냈다. 그곳에는 썰물이 되면 넓은 갯벌이 드러난다. 맨발로 갯벌 위를 걷는 감촉은 너무 보드랍고 좋았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새만금 방조제 사업 때문에 비응도가 무너지고 있다. 외부 사람들은 나라에서 보조금을 받으니, 이 섬을 벗어 날 좋은 기회라고 하지만 할머니는 아닌 것 같다. 비응도가 무너지기 시작하자 할머니의 마지막 남아 있는 힘도 함께 사라진 것 같다.

 

할머니는 비응도에서 백합조개를 캐서 아빠를 대학까지 보냈다고 늘 자랑삼아 이야기했다. 비응도로 열세 살에 시집와서 칠십 삼세까지 할머니는 바다와 함께 산 것이다.

 

바다가 방조제로 막히고 지금은 새로운 관광단지가 세워지고 있다. 이제는 할머니 기억 속에 박제되어 버린 비응도와 작은 손갈퀴만이 웃고 있었다. 갈퀴를 보자 할머니의 모습이 떠올랐다.

 

“아빠, 빨리 할머니한테 가자!”

 

처음처럼 갈퀴를 보자기에 묶고 아빠의 팔을 끌었다. 아빠의 우울한 얼굴이 불빛 아래서 번쩍 고개를 들었다.

 

병원에 도착하자 할머니를 간병하고 있던 엄마가 우리를 보고 놀란 표정으로 일어섰다.

 

“할머니, 보따리 두고 가면 어떻게 해?”

 

보따리를 할머니 품속에 넣어 주었다. 링거 바늘이 꽃힌 팔이 파랗게 멍들어 있었다. 할머니가 실눈을 뜨더니 초승달처럼 웃었다. 나는 엄마, 아빠의 손을 끌어다 할머니 손에 쥐어 주었다.

 

할머니 얼굴에 핀 검버섯이 뿌리 채 뽑혀 말라가던 비응도의 해당화 같았다. (비응도편 마지막회)

박월선(동화작가)

 

섬TV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타인의 섬으로 여행을 떠나자

‘몰디브, 보라보라, 발리......’ 신문에서 자주 접하는 섬들이다. 이곳에는 무성한 야자수와 금가루 같은 백사장, 그리고 돈 많은 관광객이 있다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日・中, 우리바다 넘본 이유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인 해양민족이다. 늘 푸른 바다, 드넓은 바다, 3000여 개가 넘는 섬들은 우리네 삶의 터전이자 해양사가 기록되고 해양문화가 탄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 등대

화성시 전곡항은 시화방조제가 조성되면서 시화호 이주민을 위해 조성한 다기능어항이다. 항구는 화성시 서신면과 안산시 대부도를 잇는 방파제가 건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충남 당진시 송악읍 안섬포구 등대

아산만 당진시 안섬포구는 서해안 간척 시대의 어제와 오늘, 서해 어촌이 걸어온 길과 관광 대중화에 발맞춰 섬과 포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

새만금방조제를 지나 신시도에서 고군산대교를 지나면 무녀도다. 무녀도는 선유대교를 통해 선유도와 장자도와 연결돼 차량으로 고군산군도를 여행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7) 푸른 하늘, 푸른 잎의 미학

봄이 왔다. 푸른 하늘이 열리는 청명을 지나 본격적인 농경이 시작되는 곡우를 앞두고 봄비가 내렸다. 농어촌 들녘마다 새싹이 무럭무럭 자라나 올 농
(7) 떠나가고 싶은 배

(7) 떠나가고 싶은 배

코로나로 모두가 묶여 있은 세상. 떠나고 싶다. 묶인 일상을 풀고 더 넓은 바다로 떠나고 싶다. 저 저 배를 바라보면서 문득, 1930년 내 고향 강진의 시인
(6) 호미와 삽

(6) 호미와 삽

소만은 24절기 가운데 여덟 번째 절기다. 들녘은 식물이 성장하기 시작해 녹음으로 짙어진다. 소만 무렵, 여기저기 모내기 준비로 분주하다. 이른 모내
신경림, '갈대'

신경림, '갈대'

언제부턴가 갈대는 속으로 조용히 울고 있었다. 그런 어느 밤이었을 것이다. 갈대는 그의 온몸이 흔들리고 있는 것을 알았다. 바람도 달빛도 아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그 섬에 다시 갈 수 있을까

아마추어 사진동호회의 총무, K의 전화를 받은 건 며칠 전이었다. 모처럼의 통화였지만 K의 목소리는 어제 만나 소주라도 나눈 사이처럼 정겨웠다. &ldqu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제도 <7> 하와이 아일랜드

하와이 아일랜드는 하와이 제도에서 가장 크고 제일 어린 섬이다. 빅 아일랜드라는 별명에 걸맞게 다른 하와이의 섬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거의 두 배